개인공부(113)
-
JAVA - 표준 애너테이션
표준 애너테이션 들 @Override -오버라이딩을 올바르게 했는지 컴파일러가 체크하게 함. - 오버라이딩할 때 메서드 이름을 잘못적는 실수를 하는 경우가 많다. class Parent( void parentMethod() {} ) class Child extends Parent( void parentmethod() {} // 오타를 쳐서 전혀 다른 메서드가 생김. ) @Deprecated -앞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권장하는 필드나 메서드에 붙인다. - @Deprecated의 사용 예, Date클래스의 getDate() - 이 애너테이션이 붙은 대상은 다른 것으로 대체되었으니 더 이상 사용하지 말아달라 (권고) @deprecated public int getDate() { return normalize..
2020.09.26 -
JAVA -애너테이션
소스코드 java 파일과 그에 대한 정보인 xml 인 문서를 따로 업데이트 하다보니 소스코드만 업데이트 되고 문서 업데이트를 누락하거나 까먹는 경우가 생겨 양쪽 버젼이 맞지 않게 되는 경우가 생겼다. 소스코드와 그에 대한 정보를 하나의 파일로 관리한게 애너테이션이다. 한마디로 "주석처럼 프로그래밍 언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자바의 정석 p702 -남궁성 저자님) 예) @MappedSuperclass 위의 코드를 보면 @형태로 되어있다.
2020.09.25 -
운영체제 -2
System Structure & Program Execution오늘은 하드웨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챕터 메모리는 cpu의 작업 공간 cpu는 매 순간 매 클럭사이클마다 메모리에서 인스트럭션(기계어)를 읽어서 실행을 시킴 i/o 디바이스인 키보드나 마우스는 input device 프린터나 모니터는 처리결과를 내보내는 output device disk는 보조기억 장치라고 하지만 i/o 디바이스로 볼수 있음 데이터를 읽어서 메모리로 불러들이기도 하고 cpu 처리결과를 저장하기도함(input & output 동시 수행) 각각의 I/O 디바이스는 그 디바이스를 전담하는 작은 cpu들이 붙어있게 된다.그걸 우리는 device controller 라고 부른다. 예)Disk가 head를 어떻게 움직이고 뭘 저장하는지..
2020.08.01 -
데이터 베이스 개론 5 -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
03.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 DB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요 요소중 하나는 사용자다. 사용자는 DB를 이용하기 위해 접근하는 모든 사람을 의미한다. 이용 목적에 따라 나뉘는 사용자 DB관리자 최종 사용자 응용 프로그래머 3.1 DB 관리자 DB관리자는 DB시스템을 운영 관리. DB를 직접 활용하기 보다는 조직 내의 사용자를 위해 DB를 설계 및 구축, 제대로 서비스 할 수 있도록 DB를 제어. 데이터 정의어 & 데이터 제어어를 이용해 DB에 접근함 DB관리자 업무 DB 구성 요소 선정 DB 스키마 정의 물리적 저장 구조와 접근 방법 결정 무결성 유지를 위한 제약조건 정의 보안 및 접근 권한 정책 결정 백업 및 회복 기법 정의 시스템 DB 관리 시스템 성능 감시 및 성능 분석 DB재구성 3.2 최종 사용자 데이..
2020.07.31 -
네트워크 개론5
6. 중계기 중계기의 기능 접속 시스템의 수 증가 네트워크 전송 거리 연장 중계기 원리 네트워크에서 신호를 수신 & 증폭 다음 구간으로 재전송 보통 전송거리가 100m 이상일 때 중계기 사용 중계기는 노드 사이의 케이블에서 신호를 증폭시켜 신호 감소를 해결 중계기 특징 신호를 증폭시킬뿐 데이터 내용 변경 없음 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하는 세그먼드들을 확장 or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 간혹 물리적 저항 & 임피던스로 신호 감쇠 발생하면 신호를 재생하고 타이밍 재조정 7. 라우터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통신하는 데 사용하는 장치. 근거리,대도시,광대역 통신망 연결하는데 사용 논리적 주소에 따라 네트워크 트래픽 방향을 지정하는 게이트웨이와 유사한 장치 둘 이상의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 웹페이지 요청을 수..
2020.07.31 -
데이터 베이스 개론 4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2.1 스키마 스키마는 DB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와 제약조건을 정의한 것이다. 이름은 한글로만, 주민번호는 정수로만, 전화번호는 하이픈 없이 등등 이 모든 내용이 스키마다. 데이터 구조와 제약조건을 정의한 모든 내용이 스키마다. 그리고 정의된 스키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실제로 저장된 값이 인스턴스다. 보통 스키마는 한번 정의되면 자주 변경되지 않지만, 인스턴스는 계속 변하는 특성이 있다. 이는 한번 지어진 집의 구조는 잘변하지 않지만 이사 등을 통해 사는 사람들이 계속 바뀌는 것과 같다. 2.2 3단계 데이터 베이스 구조 외부단계 개념단계 내부단계 1. 외부단계는 개별 사용자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 2. 개념단계는 조직 전체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 3. 외부 단계는 물리적인 저장 장..
2020.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