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클론 코딩 1 - 2020.07.26

2020. 7. 26. 21:17개인공부/카카오톡 클론코딩

<head>

이 사이에 들어가는 태그들은 우리눈에 보이지 않는, 브라우저에게 이 웹사이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뿐이다.

     <meta charset="utf-8">   // UTF-8은 유티코드를 위한 가변 길이 문자 인코딩 방식 중 하나.

     <meta name="author" content = "Yisak"> //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 설명

     <title>웹사이트 이름</title>

</head>

 

 

 

<body>

body 사이에 들어가는 텍스트들이 실질적으로 우리에게 보이는 것들이다.

 

semantic 태그는 제목, 문단, 네비게이션 등등 뭔가 뜻이 있는 태그

        -<section> 섹션(section)이란 제목을 가지고 있으며, HTML 문서의 전체적인 내용과 관련이 있는 콘텐츠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article>  해당 문서나 페이지 또는 사이트와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요소를 정의할 때 사용합니다.

 

non semantic 태그는 아무 지칭하는 바가없는, 의미없는 태그

         -<div>는 컨테이너 박스와 같은 태그다. 안에 내용물을 넣는것 (non semantic)

        -<span>은 텍스트를 위한 컨테이너, 제목 title 문단 p와 같은 태그가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는 아니고

         텍스트를 위한 컨테이너가 필요하면 span을 쓰면된다.

 

</body>